상세 컨텐츠

본문 제목

주식할때 생소한 기업 분석 용어를 알아보자

재테크/주식

by 사피엔스 2021. 4. 28. 11:30

본문

728x90
반응형

주식을 하시다 보면 생소한 용어들을 많이 접하게 됩니다.

 

당장 네이버 증권에 들어가면 보이는 요상한 영어들....

이 영어들은 뭐지...

 

오늘은 기업분석에 쓰이는 용어들을 한번 정리해보려고 합니다!

 


 

  • EPS (Earning Per Share, 주당순이익)

EPS = 당기순이익/발행주식수

기업이 벌어들인 순이익(당기순이익)을 그 기업이 발행한 총 주식수로 나눈 값입니다.

즉, 한 주당 이익을 얼마나 창출하고 있는지 보여주는 지표입니다.

 

EPS가 높으면 높을수록 회사의 영업상태가 좋다는 의미이고, 따라서 투자할 가치가 높아진다고 할 수 있습니다.

당연히 한 주당 벌어들이는 이익이 많으니까, 배당 여력도 높아진다고 보시면 됩니다.

 

 

  • BPS (Bookvalue Per Share, 주당 순자산가치)

BPS = 순자산/발행주식수

      = (총자산-부채)/발행주식수

만약 기업이 영업중단을 하고 회사 자산을 주주들에게 분배한다고 할 경우 한 주당 얼마씩 배분되는지를 보여줍니다.

BPS가 높을수록 부채는 적고, 수익성 및 재무건전성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.

 

하지만 BPS에는 주가정보가 전혀 고려되지 않아서, 이를 포함한 지표로 PBR 값을 사용합니다.

바로 이어서 PBR을 보시죠!

 

 

  • PBR (Price Bookvalue Ratio, 주가순자산비율)

PBR = 주가/주당순자산가치(BPS)

주가와 한 주당 순자산을 비교한 수치고, 주가가 순자산에 비해 몇배로 거래되고 있는지 나타냅니다.

PBR이 1이라면 그 시점의 주가와 기업의 한 주당 순자산이 같은 경우입니다.

1 이상인 경우에는 해당 회사의 자산가치가 높게 평가받고 있는 것이고, 1 이하는 저평가된 상황입니다.

즉, PBR은 재무적인 측면에서 주가를 판단하는 지표라고 보시면 됩니다. 

 

 

  • PER (Price Earning Ratio, 주가수익비율)

PER = 주가/주당순이익(EPS)

주가가 한 주당 수익의 몇배인가를 나타내는 수치입니다.

예를 들어 기업의 주가가 600원인데 EPS가 100원이라면 이 회사의 PER은 6이 됩니다.

PER가 높다는 것은 주당순이익에 비해 주식가격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고, 낮다는것은 그 반대겠죠?

따라서 PER이 낮은 주식은 주당순이익에 비해 주가가 낮은 것이므로 앞으로 주가가 상승할 가능성이 높습니다!!

 

 

  • 현금배당수익률

현금배당수익률은 지난 1년간 배당한 배당금의 합계를 주가로 나눈 값입니다.

즉, 한 주당 배당수익률이 얼마나 되는가를 보여주는데, 보통 은행 예금이자와 비교합니다.

은행에 예금했을 때 주는 이자가 2%인데, 현금배당수익률이 5%라고 하면 배당으로만 보았을때에도

은행에 넣는거 보다는 주식에 넣어두는게 이득이라는 것입니다.

요즘처럼 은행이자가 낮은 경우에는 배당+주가상승을 노리고 주식에 투자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죠!!

 

 

  • ROE (Return On Equity, 자기자본이익률)

ROE = (당기순이익/자기자본) * 100

투입한 자기자본이 얼만큼 이익을 냈는지 나타내는 지표입니다.

기업이 자기자본을 활용해서 1년간 얼마나 벌었는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수익성 지표죠.

ROE가 10%인 경우는 10억을 투자해서 1억원을 벌었다는 의미입니다.

따라서 ROE가 높을수록 효율적인 영업활동을 했다는 것입니다.

이 수치가 높을수록 투자자 입장에서는 회사의 이익률이 좋아 투자할 유인이 생긴다고 볼 수 있습니다.

 

 

  • ROA (Return On Assets, 총자산순이익률)

ROA = 당기순이익/자산총액

기업의 총자산 대비 당기순이익이 얼마나 많은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.

해당 회사가 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운용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.


 

오늘은 요 정도 알아보았는데요.

더 공부할 사항이 있을 때마다 글을 남겨보도록 하겠습니다.

모두 성투하세요!!

 

반응형

관련글 더보기

댓글 영역